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회사뉴스

  • 코스피가 외국인 홀로 순매수에 2750선을 지키지 못하고 마감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코스피는 22일 전거래일 대비 6.30포인트(0.23%) 내린 2748.56에 마감했다.

    투자자별로는 외국인이 홀로 6657억원을 순매수했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5306억원과 1628 억원을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의료정밀이 2.23% 올랐다. 또 섬유·의복이 1.97% 상승했다. 반면 운수장비와 유통업은 1% 이상 밀렸다.

    시가총액 상위종목 중 삼성전자는 전거래일 대비 400원(0.50%) 내린 7만89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삼성물산은 3.03% 하락했다. 또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3.37%, 2.42% 내렸다. 반면 삼성SDI는 3% 이상, LG화학과 NAVER는 2% 이상 상승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에서는 신풍제약우선주가 상한가를 기록하며 487개 종목이 올랐으며 384개 종목이 밀렸다. 60개 종목은 보합이었다.

    코스닥은 전거래일 대비 0.31포인트(0.03%) 내린 903.98에 거래를 마감했다.

    투자자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89억원과 676억원을 순매도했다. 반면 개인은 1340억원을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섬유·의류가 2.35% 상승했다. 이 외 정보기기, 통신서비스, 운송장비·부품 등은 1% 이상 올랐다. 반면 디지털컨텐츠, 반도체는 1% 이상 내렸다.

    시총 상위종목에서는 에코프로비엠이 전거래일 대비 1000원(0.36%) 오른 27만70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또 알테오젠은 3.66% 뛰었으며 에코프로는 1.78% 올랐다. 반면 위메이드가 7.93% 급락했다. 이외 신성델타테크는 3% 이상, 솔브레인은 2% 이상 하락했다.

    코스닥에서는 대동기어와 엠젠솔루션이 상한가를 기록하며 830개 종목이 상승했다. 반면 해성티피씨가 하한가를 기록해 700개 종목이 밀렸으며 114개 종목은 보합으로 마감했다.

    2024. 03. 25
  • 전거래일 대비 0.03%↓, 903.98 장마감
    업종별 혼조·시총상위 강세 우위
    반도체 중심 차익실현 매물 출회
    엠젠솔루션·대동기어 ‘上’, 해성티피씨 ‘下’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코스닥 지수가 900선을 사수하며 약보합 마감했다.

    22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03%(0.31포인트) 내린 903.98에 마감했다. 개장과 함께 하락하며 장중 한때 900.84까지 내렸으나 오후들어 소폭 반등했다.

    외국인과 기관이 매도에 나서며 증시를 압박했다. 외국인이 590억원, 기관이 676억원어치 내다 팔았다. 반면 개인은 134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간밤 뉴욕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올해 세 차례 금리 인하 전망치를 유지하면서 세 지수 일제히 모두 최고치를 경신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68% 상승한 3만9781.37을 기록했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S&P500지수도 0.32% 오른 5241.53을,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도 0.20% 상승한 1만6401.84에 거래를 마쳤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상승 이후 쉬어가는 분위기”라며 “하루 만에 반등한 원달러 환율 부담감에 투자 심리가 약화했으며 반도체 업종 중심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됐다”고 진단했다.

    업종별 혼조 마감했다. 섬유·의류가 2.35% 오른 가운데 정보기기와 운송·부품, 통신서비스, 음식료담배, 금융, 유통 등이 1%대 올랐다. 반면 반도체, 디지털이 1%대 하락했으며 비금속, 인터넷, 금속, IT부품, 제약, 소프트웨어, 종이·목재 등은 약보합 마감했다.

    시가총액 상위주는 강세 우위다. 에코프로비엠(247540)이 강보합, 에코프로(086520)가 1.78% 올랐으며 알테오젠(196170)이 3.66%, 엔켐(348370)이 1.10% 상승했다. 반면 HLB(028300)와 셀트리온제약(068760)은 약보합으로,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는 1.61% 하락했다. 신성델타테크(065350)는 3.57% 하락 마감했다.

    종목별로 엠젠솔루션(032790)과 대동기어(008830)가 상한가 마감했다. 소니드(060230)가 25.00%, 투자주의환기종목에서 해제된 휴림로봇(090710)이 23.31% 상승했다. 반면 해성티피씨(059270)는 하한가, BF랩스(139050)는 16.24$, 에이비온(203400)은 14.34%, 디와이디(219550)는 10.58% 하락했다.

    이날 코스닥 거래량은 10억3984만주, 거래대금은 9조7905억원이었다. 상한가 2개 종목 외 830개 종목이 올랐고, 하한가 1개 종목 외 700개 종목이 하락했다. 114개 종목은 보합 마감했다.

    2024. 03. 25

  • [파이낸셜뉴스] 미국에서 유전자 변형 돼지 신장 이식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는 소식에 엠젠솔루션이 강세다. 엠젠솔루션은 관련 기술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을 보유중이다.

    22일 오전 10시 11분 현재 엠젠솔루션은 전일 대비 110원(+7.87%) 상승한 1507원에 거래되고 있다.

    21일(현지시간) 미 바이오벤처인 e제네시스 발표와 주요 외신 등에 따르면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GH)의 카와이 타츠오 박사와 나헬 엘리아스 박사가 이끄는 의료진은 지난 16일 말기 신장 질환을 앓는 60대 남성을 대상으로 유전자 변형 돼지 신장을 이식했다. 수술 후 일주일가량 지나는 동안 환자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수술은 미 식품의약청(FDA) 특별 승인하에 이뤄졌다. e제네시스는 이식수술을 위해 유전자를 교정한 돼지 신장을 제공했다. 유전자 변형 돼지의 신장을 살아있는 환자 몸에 성공적으로 이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e제네시스는 하버드의대 등 연구팀과 함께 지난해 '네이처'(Nature)에 유전자 변형 돼지의 신장을 이식한 원숭이의 장기 생존 사례를 발표했다. 당시 연구진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SPR-Cas9) 기술로 유전자를 편집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는 DNA에서 특정 유전자를 잘라내고 교정하는 기술이다. 엠젠솔루션은 이 기술을 이용해 인간 인슐린을 분비하는 돼지, 면역결핍 돼지, 인간질병을 가진 질병모델 돼지 등을 개발한 바 있다.

    또 이식 거부반응 관련 유전자가 제거된 돼지의 췌도를 당뇨모델 원숭이에게 이식해 7개월 이상 정상 혈당을 유지시켰다. 현재 6개 유전자 변형된 돼지 생산에 성공했으며 관련 제품개발 및 임상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전자가위 #엠젠솔루션 #유전자변형돼지신장이식 #e제네시스 #크리스퍼유전자가위


    김경아 기자 (kakim@fnnews.com)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160240

    2024. 03. 22
  • 이식용 장기 생산 연구에 사용된 유카탄 미니돼지.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장기이식용 유전자조작 돼지 탄생 소식에 엠젠솔루션이 오름세다. 엠젠솔루션은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해 세계에서 처음으로 인간 인슐린 복제 돼지를 개발했다.

    13일 오전 10시 7분 현재 엠젠솔루션은 전 거래일 대비 3.82% 오른 1468원에 거래되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일본 메이지대 벤처기업 포르메드텍은 지난 11일 장기를 인체에 이식해도 거부 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면역 관련 유전자를 조작한 돼지 3마리를 태어나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가고시마대와 교도부립 의대는 이번에 탄생한 돼지 신장을 이르면 올 여름께 원숭이에 이식해 안전성을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 포르메드텍 창업자이자 생명공학 연구자인 나가시마 히로시 메이지대 교수는 "이르면 내년에 돼지 신장을 인체에 이식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한편 엠젠솔루션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해 사람의 유전자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돼지를 개발, 생산한다. 이를 통한 췌도 세포치료제 및 이종 장기의 개발에 성과를 이뤘으며 다수의 특허를 보유 중이다.

    앞서 엠젠솔루션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해 세계 최초로 인간 인슐린을 분비하는 복제 돼지를 개발한 바 있다. 또 국내 최초로 면역결핍 돼지 생산에 성공했다.

    아울러 이식 거부반응 관련 유전자가 제거된 돼지의 췌도를 당뇨모델 원숭이에게 이식해 7개월 이상 정상 혈당을 유지시켰다. 현재 6개 유전자 변형된 돼지 생산에 성공했으며 관련 제품 개발 및 임상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자 프로필

    2024. 02. 13
  • 엠젠솔루션 CI.

    엠젠솔루션은 유상증자를 통해 116억4000만원을 조달했다고 26일 밝혔다. 엠젠솔루션은 기존 주주(구주주) 배정 후 실권주 일반 공모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진행해 왔다.

    엠젠솔루션이 지난 13일부터 14일까지 진행한 구주주 유상증자 청약은 청약률 98.84%(초과 청약 포함)를 기록했고, 이어 19일부터 20일까지 진행한 일반 공모 청약은 경쟁률 7만1514.44%를 기록했다.

    엠젠솔루션의 유상증자 발행가가 일반 공모 투자자는 시세차익을 기대한 것으로 보인다. 엠젠솔루션의 유상증자 발행가는 1164원으로 이날 오후 1시 30분 기준 주가(1582원)보다 26.4%가량 낮다. 이번 유상증자 신주는 다음달 4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될 예정이다.

    엠젠솔루션은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으로 베트남 시장 진출을 위한 시설 투자에 나선다. 엠젠솔루션은 베트남 롱안 키즈나 공단에 코일자성체 부품 공장을 구축하고 있다. 또 생명과학연구소와 AI(인공지능)빅데이터 연구소 운영 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엠젠솔루션은 1973년 설립됐다. 합병 등을 통해 현상기 부문에서 사물인터넷(IoT), 바이오, AI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엠젠솔루션은 최근 대형 보안기업인 SK쉴더스와 AI 화재솔루션 및 보안 인프라 구축을 협력키로 했다. 세부적으로 ▲위험물 저장시설 보안인프라 구축 사업 ▲빌딩 보안시스템 구축 사업 ▲기타(국내외 시장) 프로젝트 확장 등에 힘쓰기로 했다.

    엠젠솔루션 관계자는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보안 시장은 2030년 약 439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는 거대한 시장”이라며 “SK쉴더스와 함께 양사가 시너지를 극대화해 국내뿐 아니라 해외 스마트 시티, 공공 플랫폼 시장 확대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했다.

    2023. 12. 26
  •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엠젠솔루션(032790)은 일반공모 청약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벤처기업 투자신탁 청약 포함)를 대상으로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한 결과 발행예정 주식수에 대해 8264만4233주의 청약이 이뤄져 7만1514.44%의 청약률을 기록했다고 21일 공시했다.

     

    2023.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