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사의 전자증권제도 도입·시행[’19. 9. 16(월)]에 따라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시행 당시 예탁되지 아니한 전환대상주권 등의 권리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부칙 제3조 제3항에 근거하여 아래의 사항을 공고 합니다.
– 아 래 –
전자증권법 시행일[2019. 9.16(월)]부터 소유중인 실물증권은 효력을 잃게 됩니다.
실물증권 보유자는 해당 증권을 ’19. 8. 21(수) 까지 거래 증권회사 계좌에 입고하거나 또는 법 시행일 직전 영업일[’19. 9. 11(수)] 오전 11시까지 한국예탁결제원(명의개서대행회사)에 실물증권을 제출하고 거래 증권사 계좌(전자등록되는 전자등록계좌)에 입고 요청하여야 합니다.
당사는 법 시행일 직전영업일{’19. 9. 11(수)}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권리자를 기준으로 전자등록이 되도록 전자등록기관(한국예탁결제원)에 요청합니다.
2019년 7월 26일
서울시 서초구 효령로 83 (방배동, 엠젠플러스빌딩)
주식회사 엠젠플러스 대표이사 심 영 복
명의개서대리인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이 병 래
머니투데이 세종=정혁수 기자] [[농진청 사람들](2)국립축산과학원 동물바이오공학과 오건봉 농업연구사…돼지 심장 이식 받은 원숭이 60일 생존 국내 최장 기록 세워]
고형장기는 현재 쉽지 않은데 각막이나 췌도 등 조직 세포는 일부 선진국에서 임상적용의 단계까지 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관련기술이 축적돼 있고 현재 연구가 빠른 속도로 진행중이어서 조만간 장기이식 분야에서 가시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기사 원문 및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주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3854413
異種 간 장기 배양·이식
미국과 일본 연구진이 커다란 쥐(rat)의 몸속에서 생쥐(mouse)의 췌장을 키운 뒤 당뇨병에 걸린 생쥐에게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 이식받은 생쥐는 당뇨병이 완치되는 것은 물론 면역 거부반응 없이 1년 넘게 생존했다. 쥐와 생쥐는 비슷해 보이지만 사람과 침팬지보다도 유전적 차이가 클 정도로 다른 종(種)이다. 이에 따라 머지않아 원숭이나 돼지의 몸에서 사람 장기를 키워 각종 질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일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경제i 이영완 과학전문기자)
※ 기사 원문 및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주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25/2017012503425.html
(춘천=포커스뉴스) 국내 연구진이 돼지 간을 이용해 사람의 체내에 이식 가능한 인공 간 개발해 성공했다.
강원대학교는 수의학과 우흥명 교수 연구팀이 돼지 간을 이용해 인간의 장기와 구조·기능적으로 비슷하면서 면역 거부반응이 없는 이종이식용 인공 간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돼지 간을 이용해 면역거부 반응의 원인물질(이종항원)인 이식항원을 없애 탈 세포화된 스캐폴드를 제작한 후, 원하는 세포를 주입, 배양해 다시 세포가 들어있는 장기를 만드는 방식이다.
(포커스뉴스 김동원 기자)
※ 기사 원문 및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주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17 신년특집]
유전자 2개 변형한 돼지 심장, 원숭이에 이식… 60일 생존 기록
이종 장기이식의 최종 목표는 돼지의 심장, 신장과 같은 장기를 통째로 사람에게 이식하는 것이다. 하지만 장기 전체 이식은 췌도, 각막 이식보다 면역 거부반응이 훨씬 심하다. 과학자들은 인체 면역 세포의 공격을 유도하는 돼지 유전자를 근본적으로 바꿔야 가능하다고 본다. 예를 들어 이식 후 바로 일어나는 초급성 면역 거부반응은 인체의 면역 세포가 돼지 세포 표면에 있는 알파-갈 당단백질을 감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돼지에게서 알파-갈을 만드는 유전자를 제거하면 초급성 거부반응을 차단할 수 있다.
(조선일보 이영완 과학전문기자)
※ 기사 원문 및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주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02/2017010200118.html
[2017 신년특집]
바이오異種장기사업단, 세계 첫 이식 수술 계획… 성공 땐 인체 스스로 혈당 조절
혈당 변화 감지하지 못하는 일부 당뇨 환자에겐마지막 희망
사람의 췌도는 기증자 적어 장기 크기 비슷한 미니돼지 이용
원숭이에게 이식 가능함 입증, 기술적으로 80%이상 수준 도달
법적 기준만 마련되면 내년에 이식 수술 계획
(조선일보 이영완 과학전문기자)
※ 기사 원문 및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주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02/2017010200120.html